티스토리 뷰

오늘은 많은 청년들이 궁금해하는 청년내일저축계좌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글은 청년저축계좌가 무엇인지, 누가 신청할 수 있는지, 어떤 혜택이 있는지 단어가 생소하고 이자 계산이 복잡하다고 느끼는 초보자들을 위한 이해하기 쉽고 완벽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신청기간이 그리 길지 않으니, 글을 끝까지 읽어보시고 내 미래를 위한 첫걸음을 시작해 보세요!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란 무엇일까?

 

일정 소득 요건을 충족하는 청년이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추가로 지원금을 적립해 주는 제도입니다. 목돈마련이 어려운 청년들에게 이를 통해 청년들이 3년 후에는 상당한 금액의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일정 소득 이하의 청년이 근로를 지속하면서 매월 일정 금액(1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매칭 형식으로 추가 지원금을 적립해 주는 정책입니다.

 

  • 저축기간: 3년
  • 본인 저축액: 월 10만 원
  • 정부 지원금:
    차상위 이하: 월 30만 원
    일반형(중위소득 50~100%): 월 10만 원
  • 만기 수령액:
    차상위 이하: 최대 1,440만 원 + 이자
    일반형: 최대 720만 원 + 이자

    즉, 본인이 360만 원만 저축해도 정부가 최대 1,080만 원까지 얹어주는 셈입니다. 그야말로 청년을 위한 ‘정부 찬스’죠.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가 왜 중요한가?

-정부가 함께 저축해주는 목돈 마련의 기회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단순한 적금이 아닙니다.

내가 매달 10만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월 10~30 만원을 추가로 넣어줍니다.

3년 동안 꾸준히 저축하면 본인 저축금 (360만 원)과 정부지원금(최대 1,080만 원), 그리고 이자까지 받을 수 있어 목돈 마련이 가능합니다.

 

-저소득 청년의 자립지원

 

경제적 어려움으로 미래를 준비하기 힘든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자산의 형성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사회초년생, 아르바이트생, 비정규직 등 다양한 청년층이 지원 대상입니다.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 누가 신청 할 수 있나?

 

연령 요건

 

  • 일반 청년: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 차상위계층 이하: 만 15세 이상 ~ 만 39세 이하

소득 요건

 

  • 일반 청년(차상위 초과): 월 근로·사업소득이 50만 원 초과 ~ 250만 원 이하
  • 차상위계층 이하: 월 근로·사업소득이 10만 원 이상

 

가구소득 기준

 

  • 일반 청년: 기준 중위소득 50% 초과 ~ 100% 이하
  • 차상위계층 이하: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구분 차상위 초과
(기준 중위소득 50~100%)
차상위 이하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연령 19세 ~ 34세 15세 ~ 39세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50% ~ 100%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근로소득 월 50만 원 초과 ~ 250만 원 이하 월 10만 원 이상
지원내용 월 10만 원 (정액 지원) 월 30만 원 (정액 지원)
만기(3년)
지급액
720만 원 + 이자
(본인저축금 360만 원 가정)
1,440만 원 + 이자
(본인저축금 360만 원 가정)
유지 기준 ① 근로활동 지속
② 본인 저축금 적립
③ 유지소득기준(소득상한) 충족
① 근로활동 지속
② 본인 저축금 적립
③ 유지소득기준(소득상한) 충족
만기 지급 조건 ① 자립역량교육(10시간) 이수
② 자금활용계획서 제출
① 자립역량교육(10시간) 이수
② 자금활용계획서 제출

 

청년 내일 저축계좌 혜택은?

 

청년내일저축계좌총정리

 

항목 내용
본인 저축 월 10만원 (3년간 총 360만원)
정부 지원금 월 최대 30만원 (3년간 최대 1,080만원)
만기 수령액 최대 1,440만원 +이자
이자 은행 적금 이자 추가 지급
적립 중지/연장 군입대, 임신,출산,육아휴직 시 최대 2년 적립 중지 가능

 

청년내일저축계좌 실제로 얼마나 받을 수 있나? (예시)

 

  • 일반 청년 (중위소득 50~100%):
    본인 월 10만원10만 원 +정부 월 10만 원 -> 3년 후 720만 원 +이자
  • 차상위 이하 청년(중위소득 50% 이하):
    본인 월 10만 원+ 정부 월 30만 원 -> 3년 후 1,440만 원+이자

청년내일저축계좌 2025년 기준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

 

 

 

2025년 모집 일정

 

  • 신청 기간: 2025년 5월 2일(목) ~ 5월 21일(수)
  • 모집 인원: 약 10만 명 내외 (선착순 아님)

 

신청 방법

 

  • 온라인: 복지로 홈페이지
  • 오프라인: 거주기 읍, 면, 동 주민센터 방문

 

준비서류

 

  • 주민등록등본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 신분증
  • 본인 명의 통장 사본
  •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 증빙자료
  •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 등

※ 소득 및 재산은 ‘행복 e음’을 통해 자동 조회됩니다.

 

선정 및 통장개설

  • 소득, 재산 조사 후 선정자 개별통보
  • 지정 은행에서 청년내일 저축계좌 통장 개설
  • 매월 본인 저축금 입금 시작

 

 

주의사항!

  • 중도 해지 시 정부지원금은 전액 반환해야 합니다. 본인 저축금과 이자만 받을 수 있고, 정부 지원금은 지원되지 않습니다.
  • 자격 탈락 사유: 소득 초과, 장기간 저축 미납, 근로활동 중단, 교육 미이수
  • 정부지원금은 본인 계좌로 한 번에 입금되지 않고, 따로 분리되어 적립됩니다. 만기까지 유지해야 전액 수령 가능.
  • 청년도약계좌와 중복 가입이 불가능하므로 둘 중 하나만 선택하셔야 합니다.

 

누구에게 유리할까?

 

청년내일 저축계좌는 특히 다음과 같은 분들에게 강력 추천합니다.

 

  • 안정적인 직장이 없는 프리랜서, 파트타이머 청년
  • 저소득 가정 청년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 결혼, 자취, 창업 등 목돈이 필요한 계획이 있는 사람
  • 저축 습관을 기르고 싶은 사회 초년생

 

추가문의 방법

 

-복지로 사이트 (www.bokjiro.go.kr)

-자산형성포털(hope.welfareinfo.or.kr)

-읍면동 행복복지센터

-자산형성지원 콜센터(1522-3690)

 

3년 동안 매달 10만 원을 모은다면 총 360만 원입니다. 그런데 정부가 최대 1,080만 원을 더해주어 총 1,440만 원을 만들 수 있다면? 그건 단순한 저축이 아니라 미래를 바꾸는 자산 설계입니다.

신청 자격이 된다면 꼭 도전해 보세요. 이 제도는 단순한 복지가 아니라 미래를 준비하는 청년들을 위한 실질적인 디딤돌이 될 수 있습니다.